유용한 정보 / / 2023. 3. 29. 17:09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중복x, 비교, 중도해지

반응형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중복 가능여부? 불가능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 중복 가입 가능여부에 대해 많이 궁금해하실 거라 생각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두 제도는 중복 가입이 불가합니다.

 

 

위와 같이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채움공제 등과 청년도약계좌 중복가입은 허용되지만

청년희망적금은 중복가입이 불가하므로,

 

청년희망적금에 이미 가입되어 있는 분들이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기 위해선

청년희망적금을 중도 해지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21년 2월부터 시행해 온 청년희망적금을 만기 전에 중도해지하고 청년도약계좌로

무작정 갈아타는 것은 섣부른 결정이 될 수 있습니다.

 

두 제도의 장단점을 꼼꼼히 비교해 보고, 개인 조건 및 환경에 유리한 방향으로 결정해야 할 것입니다.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비교

 

두 제도 모두, 가입대상나이는 만19세~34세(병역기간은 연령계산에 미산입)이지만,

소득 조건은 청년희망적금이 청년도약계좌보다 조건이 더 제한적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직전 연도 과세기간(21년 1월~12월)의

총 급여액이 3,600만 원(종소액 2,600만 원) 이하의 소득조건을 가진 사람만 가입이 가능했으나,

 

청년도약계좌개인소득 7,500만원 이하, 가구소득은 중위 180%이하만 충족하면 되기 때문에

청년희망적금에 비해 소득조건이 완화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두 제도 모두, 만기 시 이자소득세는 비과세이며

청년희망적금금리 연 5%(은행별 우대금리 별도), 저축 장려금 연 2~4%(최대 36만 원)이며

 

청년도약계좌의 금리는 아직 미정이며,

월 40~70만 원 저축 시 지원금 최대 6%(최대 월 40만 원)입니다.

 

저처럼 청년희망적금에 이미 가입하셨던 분들은

청년희망적금을 중도 해지하고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지 많이 고민하실 겁니다.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별 기여금 지급 구조

개인소득
(총 급여 기준)
본인 납입한도
(月)
기여금 납입한도
(月)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 한도
(月)
2,400 만원 ↓ 70 만원 40 만원 6.0% 2.4만원
3,600 만원 ↓ 50만원 4.6% 2.3만원
4,800 만원 ↓ 60만원 3.7% 2.2만원
6,000 만원 ↓ 70만원 3.0% 2.1만원
7,000 만원 ↓ - - -

위와 같이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매칭비율은 높아지며

개인소득이 6,000만 원 초과 7,500만 원 미만인 경우 기여금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매칭 비율은 개인소득 기준에 따라 달라지며 만약 급여가 높은 분이라면,

최대 70만 원으로 3%인 월 2.1만 원의 기여금을 받아야 유리합니다.

하지만 매달 70만 원을 5년 동안 꾸준히 납입해야 한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사유등으로 특별중도해지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중도해지 시,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은 받을 수 없다는 점도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